보이그랜더 VM 렌즈 역사상 최고의 35mm 렌즈로 손꼽히는 APO-LANTHAR 35mm F2에 관한 이번 포스팅은 야경 표현에 관한 것입니다. 크게 보케(빛망울) 표현과 장노출 촬영에서의 빛갈라짐으로 나눠 그 특성과 장단점을 공유하려고 합니다. 이 렌즈와 더불어 보이그랜더 VM APO-LANTHAR 렌즈 시리즈는 원형 보케를 위한 독특한 조리개 날 디자인을 채용했거든요.
APO-LANTHAR 35mm F2 렌즈에 관한 기본적인 정보는 지난 포스팅을 참고하세요.
보이그랜더 아포-란타 35mm F2 렌즈 개봉기(APO-LANTHAR 35mm F2 Aspherical) - 최고의 35mm 렌즈에 대한 기대
타협 없는 초고화질을 내세운 보이그랜더의 최상위 렌즈 시리즈 아포란타(APO-LANTHAR) VM 마운트 렌즈 2종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50mm 아포란타 렌즈에 이어 이번 포스팅에선 35mm 초점거리를 갖는 APO
mistyfriday.kr
보이그랜더 아포란타(APO-LANTHAR) 35/50mm 렌즈 간단 비교 (외형 & 이미지)
보이그랜더 VM 마운트 렌즈 중 최상위 제품 아포-란타(APO-LANTHAR) 렌즈 2종의 간단 비교입니다. 보이그랜더 역사상 최고의 이미지 품질을 자랑하는 시리즈인만큼 수령 전부터 기대가 컸는데, 본격
mistyfriday.kr
보이그랜더 아포란타 35mm f2 렌즈 첫 롤 감상 - 35mm 프레임 & 해상력 (APO-LANTHAR 35mm F2 Aspherical)
보이그랜더 VM 마운트 최고의 35mm 렌즈 아포란타 35mm F2 asph. 렌즈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35/50mm 아포란타 2종을 함께 사용하고 있는데, 이미지 품질에 대한 믿음과 기대 덕분에 모처럼 라이카 M10-D
mistyfriday.kr
원형 보케 연출을 위한 조리개 날 구조
APO-LANTHAR 35mm F2 렌즈의 조리개는 총 12개의 날로 구성돼 있습니다. 원형 조리개라는 단순한 설명을 보고 그냥 지나치기 쉽지만 여기엔 재미있는 구조가 숨겨져 있는데요, 조리개 부분을 확대해 보면 일반적인 조리개 날의 형태와는 다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는 APO-LANTHAR 35mm f2, 50mm f2 렌즈에 공통적으로 적용된 부분입니다.
이런 독특한 형태의 조리개 날로 인해 조리개를 조였을 때의 모양이 기존 렌즈와 다르고 그것은 곧 보케 형태의 차이로 이어집니다. 보이그랜더가 이런 조리개 날 디자인을 채택한 것은 특정 조리개 값 촬영에서 완전한 원형의 조리개를 표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입니다. 원형 조리개를 탑재한 대부분의 렌즈에서 조리개 값이 높아질 수록 보케 형태가 다각형으로 변하는 것을 심심찮게 볼 수 있죠.
아래는 조리개 값 설정에 따른 렌즈 내부의 변화입니다.
빨간색으로 표기한 F2/F2.8/F5.6에서 조리개가 조여진 모양이 완전한 원형이 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다른 조리개 값에서는 다소 독특한 형태의 보케가 표현되더라도-일부 희생에 가깝다고 생각합니다- 피사체와 광량, 사용 환경 등에 따라 사용 빈도가 높은 세 값에서는 아름다운 원형 보케를 누릴 수 있도록 한 것이죠. 실제 결과물을 비교해 보면 쉽게 알 수 있습니다.
보케 모양 비교
당연히(?) 원형 조리개가 표현되는 F2 최대 개방을 제외하고 비교적 높은 조리개 값인 F5.6 설정을 비교해 보았습니다. 직전 조리개 값인 약 F4.8에서는 특유의 톱니바퀴 모양 보케가 나타나는 데 반해 그보다 높은 F5.6 설정값에서 선명한 원형 보케가 나타납니다. 아래는 F2 최대 개방부터 F16까지 조리개 값에 따른 보케 모양을 비교한 것입니다.
조리개 날 부분을 확대했을 때와 마찬가지로 F2/F2.8/F5.6에서 보케 모양이 원형으로 나타납니다. 세 가지 설정값이 시사하는 바는 사용자의 의도와 피사체, 촬영 환경에 따라 이 설정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는 것. 그리고 노출 과다 등의 문제가 있을 때 F5.6의 높은 조리개 값을 설정해도 원형 보케가 표현된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는 것 등이 떠오릅니다. 다만 F2 최대 개방 촬영에서의 주변부 보케는 전형적인 쌀알 형태의 보케로 그 형태가 다소 왜곡되는 것을 감안해야겠습니다.
독특한 조리개 날 디자인과 그로 인한 보케 형태의 변화는 유심히 보지 않는 이상 느끼기 어려운 설계의 묘이자 사진가에 대한 제조사의 깊은 고민의 흔적입니다. 물론 이 렌즈를 선택할 사용자라면 그 차이를 금방 발견할 지도 모르지만요.
APO-LANTHAR 50mm F2에도 동일한 구조의 조리개가 적용돼 있습니다.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링크 된 포스팅을 참고하세요.
https://mistyfriday.tistory.com/3720
보이그랜더 아포란타 50mm f2 렌즈 보케/야경 테스트 (APO-LANTHAR 50mm F2 asph.)
보이그랜더 VM 마운트의 50mm 렌즈 아포란타 50mm F2 asph.에 관한 이번 포스팅은 렌즈의 광학 특성에 해당하는 빛망울, 빛갈라짐 테스트입니다. 야경 표현을 렌즈 평가에 있어 중요한 요소로 생각하
mistyfriday.kr
장노출 야경 촬영의 핵심은 F11
장노출 야경 촬영을 즐기는 입장으로 보이그랜더 수동 렌즈들의 빛 갈라짐 표현을 높이 평가합니다. 제가 사용했던 대부분의 보이그랜더 수동 렌즈들은 빛 갈라짐 표현이 선명하고 날카로웠거든요. 그것이 렌즈의 광학 완성도을 높게 평가하는 근거가 되기도 합니다. 낮은 조리개 값과 최대 개방 촬영에서의 해상력, 주변부 광량 저하 등에 비해 야경 표현 능력을 등한시하는 제조사가 꽤 있거든요.
앞서 언급한 독특한 조리개 구조 때문인지 APO-LANTHAR 35mm F2 렌즈의 빛 갈라짐 표현은 그간 제가 사용했던 보이그랜더 수동 렌즈들과는 다른 경향을 보입니다. 아래는 조리개 값에 따른 빛 갈라짐 형태를 비교한 것입니다.
F4 내외의 비교적 낮은 조리개 값에서도 크고 선명한 빛갈라짐이 나타났던 렌즈들에 비해 APO-LANTHAR 35mm F2 렌즈의 빛갈라짐 표현은 다소 밋밋하고 어떤 면으로는 실망스럽습니다. F4 촬영부터 빛갈라짐 형태가 나타나지만 그 형태가 뚜렷하지 못하다 F11 조리개 값에서만 '반짝'하고 선명하게 보입니다. 그래서 이 렌즈로 야경 장노출 촬영을 할 때는 가급적 F11 내외의 조리개 값을 설정하고 있습니다.
독특한 구조의 조리개 값과 다소간 제약이 있지만 크고 선명한 빛갈라짐 연출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이 렌즈 역시 그간 보이그랜더 렌즈에 대해 제가 가져온 믿음에 부합하는 제품이 됐습니다. 전천후로 사용할 수 있는 M 마운트 35mm 렌즈를 찾는다면 라이카 렌즈보다 훨씬 저렴한 가격에 완성도 높은 이 렌즈도 좋은 선택지가 될 것 같습니다.
- 본 글은 보이그랜더 APO-LANTHAR 35mm F2 리뷰 활동의 일환으로 작성되었으며, 리뷰 작성에 대해 소정의 원고료를 받습니다.
- 렌즈는 썬포토로부터 일정기간 대여받았습니다. 체험 완료 후 사용한 장비는 반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