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 아이폰 17 프로의 카메라를 잘 쓰고 있습니다. 아이폰 15 프로 맥스에 이어 2년만의 교체인데 메인 카메라의 화질은 큰 차이가 없지만 초광각/망원 카메라의 성능, 카메라 컨트롤 버튼, 스타일 조절 기능 등 만족스러운 요소들이 꽤 있어요. 스마트폰에서 카메라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강의 등 관련 활동도 여럿 하고 있는 터라 아이폰 17 프로 역시 카메라 중심으로 사용기를 써 볼까 합니다.
애플 아이폰 17 프로 첫인상 - 못생겨졌지만 어쩔 수 없잖아 (iPhone 17 Pro Silver)
애플 아이폰 17 프로 첫인상 - 못생겨졌지만 어쩔 수 없잖아 (iPhone 17 Pro Silver)
새 아이폰을 샀습니다. 예전엔 매년 교체했는데 요즘엔 2년에 한 번으로 주기가 길어졌어요. 카메라를 중요하게 생각하다 보니 카메라 성능에 큰 변화가 있을 때마다 교체를 하는 편입니다. 그
mistyfriday.kr
망원 카메라의 발전
아이폰 17 프로 카메라의 가장 큰 변화는 망원 카메라입니다. 4배 줌에 해당하는 4800만 화소 카메라가 탑재됐어요. 아이폰 15,16 시리즈는 3/5배 줌 카메라를 탑재했었죠. 직전 모델인 16 프로 시리즈의 5배 줌에 비해 배율은 줄었지만 화소가 4배 커져서 활용도는 더 좋습니다. 화질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이미지 센서 크기 역시 아이폰 17 프로의 망원 카메라가 더 큽니다. 모든 면에서 업그레이드입니다. 아래는 아이폰 16 프로와 아이폰 17 프로의 카메라 사양 비교입니다.
초광각 - 4800만 화소. 13mm F2.2, 1/2.55" 이미지 센서 (동일)
광각 - 4800만 화소, 24mm F1.8, 1/1.28" 이미지 센서
망원 - 1200만 화소, 120mm F2.8, 1/3.06" 이미지 센서 | 4800만 화소, 100mm F2.8, 1/2.55" 이미지 센서 (아이폰 17 프로)
개인적으로 아이폰의 망원 카메라를 즐겨 사용했기에 아이폰 17 프로의 카메라 사양을 보고 고민없이 구매를 결정했습니다. 아이폰 16 프로에서 초광각 카메라가 4800만 화소로 향상된 데 이어 17 프로에서 망원까지 향상되면서 이제 세 개의 카메라가 모두 4800만 화소가 됐어요. 앞으로 4배 줌 카메라를 즐겨 쓸 것 같습니다.
8배 줌, 200mm
4배 망원 카메라의 초점거리는 약 100mm에 해당합니다. 여기에 4800만 화소 이미지의 중심부를 크롭해 1200만 화소의 8배 줌 효과를 추가했습니다. 애플에서는 광학 줌 '수준'의 효과라고 설명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4배 줌 카메라의 중심부를 쓴 것입니다. 기존의 2배 줌 역시 4800만 화소 메인 카메라의 중심부를 쓴 것이죠. 물론 이것을 실제 사용자들이 진짜 카메라들처럼 여기도록 잘 포장했습니다.
그 결과 아이폰 17프로 시리즈는 세 개의 카메라를 다섯 개처럼 쓰고 있습니다. 0.5배 초광각 카메라, 메인 카메라를 확대한 2배 줌, 4배 망원 카메라를 확대한 8배 줌입니다. 기존 5배 줌 망원 카메라가 실내 촬영에서 상당 부분 제약이 있었기 때문에 저는 4배 카메라에 만족합니다. 4,8배로 더 다양하게 조절할 수도 있고요. 위 스크린샷에서 보이듯 8배 망원 촬영 중에는 우측 상단에 확대 영역이 표시됩니다.
[아이폰 17 프로 카메라의 8배 줌 비교]
동일한 환경에서 0.5배 초광각과 8매 망원의 촬영 영역을 비교한 것입니다. 한개로 시작했던 스마트폰 카메라의 수가 점점 늘고 화소까지 커지면서 이제 13-200mm의 고배율 줌렌즈를 갖게 됐습니다. 이 정도면 어지간한 촬영은 다 할 수 있죠.
카메라를 바꿔가며 찍은 8배 줌의 성능은 기대 이상입니다. 200mm 망원에선 갈 수 없을만큼 멀리 있는 것, 눈으로 볼 수 없을 정도로 작은 것까지 담을 수 있어요. 물론 이전에도 디지털 줌으로 수십 배의 망원 촬영을 지원했지만 화질 저하가 심해 활용이 극히 제한적이었잖아요. 갤럭시 스마트폰의 10배 망원 카메라가 부러웠던 적이 종종 있었는데 이제 상당 부분 해소가 됐습니다.
크롭 형태로 사용되는 2배, 8배 망원에서는 화소 수가 1200만으로 제한됩니다. 4800만 화소 카메라의 중심부만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화소수는 적지만 확대로 인한 화질 저하가 없는 점이 장점이죠. 물론 대부분의 환경에서 1200만 화소면 충분합니다. 600만, 800만 화소 카메라로도 즐겁게 사진 찍었잖아요.
망원 카메라 활용
동일한 환경에서 광각, 초광각 카메라와 4배 망원 카메라의 결과물을 비교한 것입니다. 같은 장소에서 완전히 다른 것을 포착하고 상반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고배율 줌의 장점을 느낄 수 있었어요. 5배 줌보다 4,8배 줌으로 이원화 한 아이폰 17 프로의 카메라가 활용도가 더 높습니다.
[광각, 망원 카메라 결과물 비교]
4800만 화소
이미지 센서가 1/3인치에서 1/2.5인치로 커지고 화소도 4800만으로 늘었습니다. 이에 따라 전반적인 이미지 품질 역시 전보다 좋아졌어요. 전에 쓰던 아이폰 15 프로 맥스와 비교하면 차이가 명확합니다. 1200만 화소는 모니터로 감상하거나 인화할 때 제약이 있었고 확대하면 화질이 크게 떨어져 보였거든요. 이번에 바뀐 망원 카메라의 이미지 센서는 초광각 카메라와 동일한 크기입니다. 메인 카메라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광량이 충분하다면 큰 이질감 없이 쓸 수 있습니다.
고질적 문제였던 망원 카메라의 화질 저하가 해결된 것이 무엇보다 마음에 듭니다. 기존 5배 망원 카메라는 광량이 부족한 실내/야간 촬영에서는 쉽게 비활성화되고 메인 카메라를 5배로 확대해 찍을 때가 많았습니다. 메인 카메라의 성능이 월등히 좋지만 5배 디지털 줌에서는 화질이 크게 떨어졌고 이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도 없어서 불만이 많았어요. 하지만 이번 아이폰 17 프로는 광량이 부족한 환경에서도 망원 카메라를 사용합니다. 당연히 결과물도 더 좋습니다.
카메라, 만족하고 있습니다.
아이폰 15 프로 맥스의 유일한 단점이었던 망원 카메라의 성능과 활용도가 보강된 것만으로도 교체한 보람이 있습니다. 메인 카메라 못지 않게 망원 카메라 사용량이 높은 제 용도에 잘 맞아요. 5배 줌이 4,8배로 바뀌며 더 유연해졌고 이미지 센서가 커지면서 화질도 확실히 좋아졌습니다. 메인 카메라의 성능이 몇 년간 제자리걸음인 것은 아쉽지만요.
아이폰 16 시리즈부터 추가된 사진 스타일도 마음에 듭니다. 값을 잘 조절하면 레트로 스타일부터 디지털 카메라의 컬러 필터, 필름 시뮬레이션 효과 못지 않은 색감으로 촬영도 가능하고요. 차차 그 이야기도 풀어 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