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포스팅은 업체로부터 원고료를 지급 받아 작성하였습니다
보이그랜더의 최상위 라인업 아포-란타 시리즈의 신제품 아포-란타 28mm F2 asph 렌즈에 관한 두 번째 포스팅. 한 달 가량 이 렌즈를 쓰며 렌즈의 특징과 장단점 그리고 평가입니다. 제목과 같이 이 렌즈를 사용하며 라이카 Q3 구매 충동에서 해방됐습니다. 가벼운 일상 스냅 그리고 여행용으로 28mm 렌즈를 즐겨 쓰는데 이 정도 완성도의 28mm 렌즈면 M 시리즈를 사용하는 게 낫겠단 생각이 들더군요. 제품의 사양과 디자인 등의 기본적인 정보는 지난 포스팅에 정리해 두었습니다.
보이그랜더 아포-란타 28mm F2 asph - 보이그랜더 역사상 최고의 광각 렌즈 (APO-LANTHAR 28mm F2 Aspherical)
보이그랜더 아포-란타 28mm F2 asph - 보이그랜더 역사상 최고의 광각 렌즈 (APO-LANTHAR 28mm F2 Aspherical)
*본 포스팅은 업체로부터 원고료를 지급 받아 작성하였습니다보이그랜더 최상위 렌즈인 아포-란타 시리즈의 신제품이 정식 발표됐습니다. VM APO-LANTHAR 28mm F2 Aspherical로 35mm, 50mm에 이어 28mm 광각
mistyfriday.kr
28mm 광각 렌즈
35mm, 50mm에 이어 28mm 아포-란타 렌즈를 기획한 것이 매우 반갑습니다. M 시스템 사용자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초점거리 중 하나이고 기존 라인업에 광각이 비어 있었으니까요. 28mm 광각은 풍경과 건축, 인테리어 등 넓은 프레임이 필요한 촬영이 주가 되지만 인물과 일상 스냅 촬영에서도 자주 활용됩니다. 저는 28mm 렌즈 하나로 대부분의 여행 사진들을 찍고 있고요. 트리밍에 익숙해지면 프레이밍도 크게 까다롭지 않습니다.
게다가 이 렌즈는 아포-란타 35mm F2, 50mm F2 렌즈보다 작고 가볍습니다. 기존 시리즈의 약점이었던 휴대성까지 보완되면서 데일리로도 충분히 활용 가능해졌습니다. 그간은 28mm 울트론, 녹턴, 컬러-스코파 렌즈들 중에서 휴대성과 화질, 가격 등을 비교해야 했는데 아포-란타를 사용하며 결론을 내렸습니다. 그만큼 밸런스가 뛰어난 렌즈입니다.
풍경 사진에서는 아포-란타 렌즈 다운 날카로움이 인상적이었습니다. 한여름 땡볕이라 대비, 해상력이 더욱 강조됐겠지만 이 렌즈는 F2 최대 개방부터 매우 선명한 결과물을 안겨 줍니다. 덕분에 화질을 고려해 조리개 값을 선택하는 번거로움에서 완전히 해방됐어요. 거의 모든 상황에서 이 렌즈의 묘사는 제 기대 이상이었습니다. 28mm 프레임의 넉넉함이야 두 말할 필요가 없고요. 28-75mm F2.8 등의 표준줌 렌즈들을 통해서도 많은 사람들이 애용하는 광각입니다.
다만 개방 촬영에서 주변부 광량 저하가 있습니다. F2-2.8 구간에서 눈에 띄기 때문에 야외 풍경 또는 건축물 촬영에서는 주로 F4-5.6을 설정했어요. 그 외에는 왜곡과 색수차 억제 등의 세부 성능 역시 상당한 수준입니다. 사용자의 고민이 많이 줄어들죠. 현장의 조도와 심도, 비네팅 정도만 고려해 조리개 값을 설정하면 되니까.
보이그랜더의 기존 28mm 렌즈들보다 왜곡을 크게 줄였다는 것이 제조사의 설명입니다. 실내/외 건축 촬영에서 그것을 실감할 수 있었어요. 광각 렌즈 특유의 배럴 디스토션이 눈에 띄지 않아서 별다른 왜곡 보정을 하지 않았습니다. 수직/수평만 잘 설정하면 반듯하고 정갈한 이미지를 얻을 수 있어요. 왜곡 때문에 광각 28m보다 35mm 렌즈를 선호하는 제게는 큰 메리트입니다.
늘 그렇듯 이 렌즈도 일상 스냅 촬영에 사용해 봤습니다. 여행, 출사를 앞두고 35mm 렌즈와 28mm 렌즈 사이에서 늘 고민하는데 이 렌즈 역시 제가 생각하는 28mm의 장점을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더 넓기도 하지만 보다 다층적인 프레임 구성이 가능해서 촬영이 즐거워요. 요즘엔 16:9 비율로 넓은 프레임을 강조하는 것을 즐깁니다. 꼭 같지는 않지만 주변부를 잘라 내면 35mm 렌즈 결과물과 비슷하게 연출할 수도 있어요.
F2 개방 촬영
최대 개방 조리개 값은 F2. 녹턴 빈티지 라인 28mm F1.5 asph 렌즈보다 아쉬울 수 있습니다만 아포-란타 시리즈는 개방 조리개 값으로 경쟁하는 렌즈가 아니니까요. 개방 촬영의 화질과 완성도를 기준으로 봐야 합니다. 제한된 환경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F1.5를 선택할 것인지, F2부터 완벽한 화질의 렌즈를 쓸 것인지.
이전에 사용했던 녹턴과 비교하면 몇몇 장면에서 F1.5와 F2의 차이가 유의미하게 체감되긴 합니다. 특히 원거리에서 얕은 심도를 연출할 때 공간감에 미세한 차이가 있어요. 라이카 Q 시리즈의 Summilux 28mm F1.7 렌즈의 최대 개방 촬영 결과물을 매우 좋아하는데 그 아슬아슬한 심도 표현이 약 1/3 스톱 상관으로 사라진달까. 확실히 심도 표현이 주가 되는 렌즈는 아닙니다. 그보단 F5.6 이상의 조리개 값, 팬 포커스 촬영에서 경험하는 칼같은 묘사에 무게를 두고 있어요.
<조리개 값에 따른 심도 비교(F2-5.6)>
12매의 원형 조리개를 탑재했고 대부분의 조리개 값에서 원형 보케가 표현 된다고 합니다. 35mm F2,50mm F2 아포-란타 렌즈가 특정 조리개 값에서만 보케가 원형으로 표현되는 것과는 다릅니다. 실제로 두 렌즈와는 조리개 형태가 달라요. 28mm 렌즈는 일반적인 원형 조리개 렌즈들과 비슷합니다.
<조리개 값에 따른 보케 표현 비교(F2-16)>
보케 모양도 일반 렌즈와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F2 최대 개방에서 가장 크고 형태 역시 완전한 원에 가깝습니다. 조리개 값이 높아지면서 점차 크기가 작아지고 모양도 12각형으로 변합니다. 그래도 비교적 원형에 가까워서 눈에 거슬리진 않아요. 원형 보케가 중요하다면 F2 위주로 촬영해야겠지만 F4, F5.6에서의 결과물도 나쁘지 않습니다. F2.8 촬영에서 12각형이 가장 도드라져요.
아포크로매트 설계
보이그랜더 아포-란타 렌즈에 적용된 아포크로매트(Apochromat) 설계는 축상 색수차를 줄이는 데 특화돼 있습니다. 보이그랜더는 0에 가까운 완전한 색수차 억제라고 이야기하고 있어요. 이것은 28mm에서도 유효합니다. 색수차가 쉽게 발생하는 금속, 광원을 촬영해도 색수차가 보이지 않습니다. 완벽한 억제라고 평하기엔 제 데이터가 부족하지만 적어도 한 달간 촬영한 사진들에서는 색수차 발생이 0이었어요. 더불어 다수의 특수 렌즈가 탑재돼 해상력, 왜곡 억제에서도 최상급 성능을 자랑합니다. 아래는 다양한 환경에서 촬영한 사진을 확대, 비교한 것입니다. 역시나 F2 최대 개방에서의 해상력이 발군입니다.
<조리개 값에 따른 해상력 비교>
조리개 값에 따른 해상력은 울트론 빈티지 라인 28mm F2 asph 렌즈와 비교해 보았습니다. 두 렌즈는 초점거리와 최대 개방 조리개 값이 같아 동급 렌즈로 오해하기 쉽지만 휴대성과 가격을 제외하면 모든 부분에서 아포-란타가 우위에 있습니다. 다만 그 차이가 어느 정도인지, 실제 촬영에서 체감할 수 있는 정도인지를 비교하는 것은 가치가 있겠죠.
APO-LANTHAR 28mm F2 ASPH(좌) | ULTRON VINTAGE LINE 28mm F2 ASPH(우)
<중심부>
사실 확대해서 보지 않는 한 두 렌즈의 해상력 차이는 크지 않습니다. 하지만 F2 최대 개방만큼은 아포-란타의 결과물이 압도적입니다. 작은 화면으로 봐도 더 깔끔하고 깊이가 느껴져요. 수치상의 차이보단 이런 표현의 특성이 때로는 사용자들에게 크게 어필한다고 생각합니다. 확대 비교에서는 모든 조리개에서 아포-란타쪽이 우세합니다. 크기 대비 꽤나 훌륭한 성능을 보인다고 평가 받는 울트론의 결과물이 흐릿하게 느껴질 정도로요. 개방 촬영에서는 윤곽선 주면의 미세한 흐림, 높은 조리개 값에서는 회절 현상으로 인한 화질 저하의 정도에 차이가 있습니다.
<주변부>
주변부의 차이는 중심부보다 더 큽니다. 앞서 지적했던 주변부 광량 저하는 두 렌즈가 비슷합니다. F2-2.8 구간에서 눈에 띄고 F4부터 크게 개선됩니다. 더 작은 울트론의 비네팅 억제 능력이 인상적입니다. 하지만 해상력과 왜곡 억제 능력만으로도 아포-란타를 선택해야 할 이유가 충분하죠. F2 최대 개방부터 해상력이 월등하고 F4 이후로는 같은 렌즈의 중심부와 비교해도 별반 차이가 없습니다. 배럴 디스토션이 있는 울트론의 주변부는 왜곡이 제법 있지만 아포-란타는 반듯합니다. 종합하면 비네팅을 제외한 모든 요소에서 아포-란타가 확실한 우위에 있다고 평할 수 있겠네요.
아포-란타 렌즈의 주변부 비네팅을 비교해 봤습니다. 비네팅이 가장 심한 F2와 가장 큰 폭으로 개선되는 F4 결과물을 비교하면 그 차이가 쉽게 느껴집니다. 주변부까지 고려한 촬영에서는 이것을 고려해 조리개 값을 설정해야겠습니다.
APO-LANTHAR 28mm F2 ASPH(좌) | ULTRON VINTAGE LINE 28mm F2 ASPH(우)
두 렌즈의 결과물을 조금 더 비교해 보았습니다. 울트론의 결과물만 보면 충분히 선명하다 생각되지만 아포-란타의 결과물과 비교하면 생각이 달라집니다. 세부 묘사는 물론 질감 표현에도 강점이 있습니다.
50cm 근접 촬영
최단 촬영 거리는 50cm입니다. 물론 라이브 뷰 기준으로 뷰파인더 촬영에선 70cm까지만 연동이 됩니다. 라이카 Q 시리즈의 가장 큰 장점 중 하나로 근접 촬영을 꼽는데 그만큼은 아니지만 50cm 근접 촬영만으로도 활용의 폭이 훨씬 넓어집니다. 이전에 출시된 35mm, 50mm F2 아포-란타 렌즈들은 근접 촬영이 70cm로 제한돼 있죠. 확실한 전진입니다.
빛갈라짐 표현
빛갈라짐은 12갈래로 표현됩니다. 기존 아포-란타 시리즈 대부분 빛갈라짐 표현이 깔끔했는데 28mm 렌즈 역시 이 경향을 따르고 있어요.
F2.8부터 형태가 나타나는데 이미 완성 수준으로 보일만큼 크고 선명합니다. 조리개 값에 따른 차이가 거의 느껴지지 않을 정도로요. 형태가 흐트러지는 것을 F16을 빼면 F2.8-11 구간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어요. 야경 촬영에도 적극 사용하는 28mm 광각에서 이는 큰 장점입니다.
초점거리는 바뀌었지만 최고 수준의 해상력, 왜곡/수차 억제 등 아포-란타 시리즈에 대한 신뢰와 기대에 부응하는 렌즈입니다. 다른 28mm 렌즈들을 사용하며 느꼈던 크고 작은 단점들까지 해소할 수 있다는 것이 마음에 들었어요. 녹턴 빈티지 라인 28mm의 색수차, 울트론 빈티지 라인 28mm의 개방 해상력, 컬러-스코파 28mm의 심도 연출에 대한 아쉬움이 모두 해소되니 그간의 고민이 무색해졌달까요. 지난 아포-란타 시리즈와 비교해도 휴대성, 근접 촬영 성능이 개선 됐으니 현행 보이그랜더 렌즈들 중에서도 완성도가 발군이라 하겠습니다. 28mm 광각을 좋아하는 분이라면 이 렌즈로 많은 고민을 덜 수 있을 거예요. 저도 진지하게 구매를 고민하고 있습니다. 여행용 원톱 렌즈로 적합하겠단 생각이 들어요.
<APO-LANTHAR 28mm F2 ASPH로 촬영한 이미지(라이카 M10)>